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베트남 소비자의 최근 동향 및 특징 2022.05.30 |
---|
|
베트남 소비자의 최근 동향 및 특징
호치민지부
동 보고서는 McKinsey&Company에서 작성(2021.12. 7)한 'The new faces of the Vietnamese consumer (영어 및 베트남)' 보고서를 번역 및 요약한 것으로 세부적인 사항은 원문 보고서를 참고(www.mckinsey.com) 하시기 바랍니다.
1. 최근 동향 ㅇ 지난 20년 間 베트남 실질 국내총생산(GDP)는 세계 평균 보다 1.7배빠른 연간 5%의 성장률을 시현 - 이는 ①제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, ②외국인 직접투자(FDI)의 적극적 유치, ③생산성 증가에 기인 ㅇ 이에 코로나 19로 큰 위기를 겪음에도 불구하고 2020년도 베트남GDP는 2.9%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
2. 베트남 소비자 트렌드
□ 중산층 진입 규모 확대 및 중소도시의 성장
ㅇ 베트남은 향후 10년 間 중산층 소비자 계층*이 3,600만명 증가할 전망 * 소비자 구매력평가(PPP) 기준, 하루 최소 11달러를 소비하는 소비자 - 베트남 전체 인구 中 중산층 소비자 계층이 2000년에는 10% 미만이었으나 현재 40% 까지 증가, 향후 2030년에는 75% 까지 이를 전망
□ 인구통계학적 변화
① 가구 인원수 감소 ㅇ 베트남 가구의 평균인원수는 1999년 4.5명에서 2019년 3.5명으로 약 20% 감소
② 노령인구의 소비 비중 증가 ㅇ 베트남은 2020년 기준, 중위 연령이 32세로 젊은 국가에 해당 ㅇ 하지만 향후 60세 이상 노령인구가 500만명까지 증가하여 2030년에는베트남 전체 인구의 17%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ㅇ 이러한 사실에 기반하여 최근 10년 間 베트남의 의료투자도 급증
③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부상 ㅇ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*가 2030년까지 베트남 소비의 40%를 차지할 전망 * 1980~2012년 사이 출생자로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를 모두 포함하는 세대 ㅇ 2020년 기준 베트남 전체 인구의 70%는 인터넷을 사용 중
④ 여성의 경제적 지위 상승 ㅇ 2019년 기준 베트남 여성의 노동참여율은 88%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
⑤ 소규모 도시 및 지역에서의 소비 증가 ㅇ 베트남은 하노이 및 호치민시와 더불어 소규모 도시 또한 새로운 소비 중심지역으로 발전하는 추세
□ 소비자 환경의 현대화 및 다양화를 이끄는 행동 변화
① 새로운 채널 믹스 전략 ㅇ 베트남 소비자들의 디지털 중심으로의 소비 방식 변화 - 2025년까지 베트남 전자상거래는 오프라인 식료품 소매업과 비슷한규모로 성장할 전망
② 베트남 자국 브랜드 선호경향 확대 ㅇ 소비재의 경우, 아시아産 브랜드 수익은 연간 9% 증가한 반면 非아시아産은 5% 증가에 불과
③ 친환경 소비 ㅇ 베트남 소비자의 91%가 친환경적 생활방식에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 - 반면 인도네시아는 86%, 태국 73%, 말레이시아는 75%에 불과 - 또한 베트남 소비자는 84%가 ‘친환경 제품에 대한 추가적 비용 지불용의’가 있는 것으로도 조사
④ 지리적 차별성 약화 ㅇ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은 북부/중부/남부로 구분하여 타켓팅하였으나 지리적 차별성은 점차 약화되는 추세
3. 시사점
ㅇ 베트남 소비시장은 최근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시간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양상 - 베트남의 소비자 계층은 지리적·사회적·인구학적·기술적으로 다변화되어 가는 추세 ㅇ 이에 기업들은 소비자의 소득 수준 뿐 아니라 새로운 마케팅 채널, 전략, 방법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판매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
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