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19년 1월 對중동 수출입 동향 2019.02.28 |
---|
|
1. 對GCC 6개국 수출입 동향
□ 1월 對GCC 6개국 수출은 6.2억 달러(전년대비 -38.7%), 수입은 49.3억 달러(-8.2%), 무역수지는 43.0억 달러 적자
□ (수출) 전년 동기대비 38.7% 감소 ○ (증가) 석유제품(154.9%, ‘18.1월 0.2억 달러 → ’19.1월 0.5억)·고무 및 제품(32.7%) ○ (감소) 일반 자동차(-29.2%)·보일러 기계류(-55.3%)·전자기기 및 부품(-36.9%) ·철강(-9.2%)·철강 제품(-43.7%)·플라스틱 및 제품(-23.6%) ○ [지역별] 전월대비 UAE 수출 실적 증가, 對사우디 수출 3개월 연속 감소 □ (수입) ‘19년 1월 수입액 기준 석유 및 석유제품 비중 95.4% ○ 11월 이후 국제원유 가격 하락하며 석유 및 석유제품 수입액 감소 □ (무역수지)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 및 석유제품 수입액 감소하였으나 주요 수출품목 실적 감소하며 무역수지 43억 달러 적자 2. 對레반트(+이라크) 5개국 수출입 동향
□ 1월 對레반트(+이라크) 5개국 수출은 3.3억 달러(전년대비 +12.3%), 수입은 8.8억 달러(-18.3%), 무역수지는 5.5억 달러 적자
□ (수출) 전년 동기대비 12.3% 증가 ○ (증가) 자동차 및 부품(1.7%)·보일러 기계류(55.3%)·플라스틱 및 제품(18.4%)·철강 제품(260.6%)·광학기기(3.0%)·메리야스편물(32.0%) ○ (감소) 전자기기 및 부품(-10.5%)·유기화학품(-35.6%)·고무 및 제품(-24.9%) ○ (지역별) 對요르단·레바논 수출액 전월 대비 증가, 이스라엘·시리아·이라크 감소 □ (수입) ‘19년 1월 수입액 기준 석유 및 석유제품 비중 89.8% ○ 이라크산 원유 수입액이 대부분 차지함 □ (무역수지) 전년대비 對이라크 수출 증가 및 원유 수입액 감소로 적자폭 감소
3. 對이란 수출입 동향
□ 1월 對이란 수출은 0.2억 달러(전년비 -95.1%), 수입은 1억 달러(-80.2%), 무역수지는 0.9억 달러 흑자 □ (수출) ‘18년 11월 미국발 이란 무역제재 전면 시행으로 주요 품목군 수출액 급감 □ (수입) 1월 이란 원유 수입액은 1억 달러 ○ 미국의 무역제재로 9월 이후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중단하였으나, ‘18년 11월 미국이 이란산 원유의 수입제재 예외 8개국 중 한국을 포함함에 따라(11/5부터 180일간 적용) ‘19년 1월부터 원유 수입 재개
4. 對터키 수출입 동향
□ 1월 對터키 수출은 4.5억 달러(전년비 -26.0%), 수입은 1억 달러(+11.5%), 무역수지는 3.5억 달러 흑자 □ (수출) 전년대비 플라스틱, 자동차, 전자기기 등 주요 품목군 수출액 감소 □ (수입) 전년대비 수입액 15.5% 증가 □ (무역수지) 1월 3.5억 달러 흑자, 전년대비 수출액 감소하며 무역수지 흑자 규모 감소 첨부. 국가별 주요 수출입 품목 (상위 10개)
※상세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|